[이슈워치] 홍콩 빈과일보 결국 폐간…비판 목소리 사라지나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과 홍콩 정부를 향해 날 선 비판의 목소리를 내온 홍콩 빈과일보가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.<br /><br />홍콩보안법 시행 1년을 엿새 앞둔 시점인데요.<br /><br />홍콩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 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주 압수수색 소식을 전한 지 딱 1주일 만이네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홍콩의 수사당국이 빈과일보 사옥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선 것은 지난 17일입니다.<br /><br />편집장 등 5명을 긴급체포했고, 빈과일보와 관련된 회사의 1,800만 홍콩 달러, 우리 돈 26억 원 규모의 자산을 동결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계기로 홍콩보안법 시행 1년이 되는 6월 30일 전에 빈과일보가 문을 닫지 않겠냐는 관측이 제기돼 왔는데요.<br /><br />당국의 거센 압박에 1주일 만에 폐간 소식을 전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렇게 갑작스럽게 폐간되는 상황까지 몰린 이유는 뭔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 수사당국은 지난주 빈과일보를 압수수색하며 앞서 말씀드린 홍콩보안법상 '외세와의 결탁' 혐의를 적용했습니다.<br /><br />"30여 건의 기사를 통해 외국 정부를 향해 홍콩과 중국 정부에 대한 제재 부과를 요청"한 점이 구체적인 혐의 내용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빈과일보는 홍콩에서 창간한 지 26년이 된 주요 신문인데요.<br /><br />2000년대 초반부터 중국과 홍콩 정부를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홍콩의 대표적인 반중 매체로 자리 잡았습니다.<br /><br />빈과일보의 사주는 지미 라이라는 사업가인데, 한국에도 잘 알려진 의류 브랜드 '지오다노'를 창업한 인물입니다.<br /><br />중국 광둥성에서 태어나, 1989년 톈안먼 사태에 충격을 받은 뒤 홍콩으로 넘어갔고, 언론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2014년 우산혁명과 2019년 송환법 반대 시위에도 참여했던 지미라이는 지난해 8월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됐고 12월에 기소돼 구치소에 수감 중인 상태입니다.<br /><br />727억 원에 달하는 개인 자산도 모두 동결됐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관영매체와 홍콩 친중 세력은 앞서 지미 라이를 외세와 결탁해 홍콩 정부를 전복하고 홍콩의 독립을 선동하는 인물이라고 몰아세우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빈과일보의 폐간 소식이 갑작스러울 수도 있지만, 지난해 6월 30일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이후 빈과일보는 홍콩 당국으로부터 줄곧 압박을 받아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빈과일보 마지막 신문에는 어떤 내용이 실렸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밤 수많은 지지자들이 빈과일보 사옥 앞에 모여 직원들을 응원했고, 직원들도 휴대전화 불빛으로 화답했는데요.<br /><br />이 장면은 빈과일보 마지막 신문 1면 사진으로 실렸습니다.<br /><br />"빗속에서 고통스러운 작별을 고한다" "우리는 빈과일보를 지지한다"는 글도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총 20면 가운데 절반가량은 빈과일보에 대한 최근 당국의 단속과 아쉬워하는 독자들의 반응으로 채워졌는데요.<br /><br />인쇄기의 마지막 버튼을 누르고 이제는 회사를 떠나야 할 처지에 놓인 직원들은 서로를 응원하면서도 안타까운 마음을 감추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 "여러분은 모두 훌륭한 일을 했습니다."<br /><br /> "우리의 마지막 날이고, 마지막 신문입니다. 이것이 홍콩이 언론의 자유와 말할 수 있는 자유를 잃기 시작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아닙니까?"<br /><br /> "정말 고통스럽습니다. 이렇게 끝내서는 안 됩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신문 가판대에서도 마지막 빈과일보를 구하려는 수많은 홍콩 시민들의 구매행렬이 이어졌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총 20면으로 발행된 마지막 신문은 평소보다 12배가량 많은 100만 부가 발행됐습니다.<br /><br />홍콩 시내 가판대에는 마지막 신문을 구하기 위해 수백 명이 줄을 서서 기다리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것은 우리가 느끼는 압박의 일부를 표출하는 하나의 방법입니다. 우리는 홍콩 사람들이 절대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을 당국에 말하고 싶습니다. 자유를 위해 모든 것을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 "이것은 홍콩 시민들의 마지막 신문입니다. 50년 또는 100년 동안 홍콩 시민들의 신문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. 나는 단지 미래를 위해 이 마지막 신문을 구하고 싶었습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제 더 이상 홍콩에서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신문은 언론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"빈과일보 폐간이 홍콩 언론환경을 급격히 위축시킬 것"이라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홍콩 민주화 운동 진영을 지지해 온 대만 정부는 "홍콩의 신문과 출판, 언론 자유는 종언을 고하게 됐다"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이를 통해 국제사회는 극단적 독재를 하는 중국 공산당이 이견을 억압하기 위해 극단적인 수단을 동원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영국, 유럽연합 EU 등도 홍콩 당국이 보안법을 이용해 반대 목소리를 잠재우려 한다고 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당연히 반발했는데요.<br /><br />빈과일보 폐간과 관련해 "언론 자유를 심각하게 파괴하는 행위"라고 비판한 EU를 향해, EU 주재 중국 사절단 대변인은 '내정에 간섭 말라'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"홍콩은 법치 사회로 언론자유를 보장한다"면서 "하지만, 언론 자유는 면죄부가 될 수 없으며 홍콩을 혼란하게 만드는 행위와 반중에는 치외법권이 없다"고 되받았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